모두매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모두매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01)
    • 초등 프린트 학습지 (76)
    • 중등 프린트 학습지 (106)
    • 고등 프린트 학습지 (71)

검색 레이어

모두매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연습문제

  • 초등 1학년 수학 > 1부터 9까지의 수 > 그림의 수 만큼 동그라미 하기

    2024.06.19 by 모두매쓰

  •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평행사변형의 넓이 구하기, 공식의 원리, 연습문제 프린트

    2024.06.19 by 모두매쓰

  •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사다리꼴의 넓이 공식의 원리, 연습문제 프린트

    2024.06.18 by 모두매쓰

  •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마름모의 넓이 연습문제 프린트

    2024.06.18 by 모두매쓰

  •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 > 복잡한 다각형의 둘레 구하기 연습문제 프린트

    2024.06.18 by 모두매쓰

  • 초등 2학년 수학 > 묶음으로 곱셈 익히기, 몇 개씩 몇 묶음한 수 연습문제 프린트

    2024.06.18 by 모두매쓰

  • 고등 수학 > 확률과 통계 > 확률의 뜻 > 3개의 점을 선택할 때, 삼각형이 만들어질 확률 연습문제, 프린트 학습지

    2024.02.27 by 모두매쓰

  • 고등 수학 > 확률과통계 > 순열과 조합 > 같은 것이 있는 순열 > 최단 거리로 가는 방법의 수와 그 원리, 프린트 학습지

    2024.02.27 by 모두매쓰

초등 1학년 수학 > 1부터 9까지의 수 > 그림의 수 만큼 동그라미 하기

초등 1학년 수학 > 1부터 9까지의 수 > 그림의 수 만큼 동그라미 하기 초등 1학년 수학 > 1부터 9까지의 수 > 그림의 수 만큼 동그라미 하기

초등 프린트 학습지 2024. 6. 19. 12:42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평행사변형의 넓이 구하기, 공식의 원리, 연습문제 프린트

평행사변형 평행사변형이란 마주보는 두 쌍의 변이 평행한 사각형입니다.  직사각형과 정사각형도 마찬가지로 마주보는 두 쌍의 변이 평행하기 때문에 평행사변형이라고 부를 수 있어요. (직사각형, 정사각형 -> 평행사변형(O))반대로 평행사변형이라고 항상 직사각형, 정사각형이라고 부를 수 없어요. 직사각형은 네 개의 각이 모두 직각이어야 하고, 정사각형은 여기에 더해 네 변의 길이도 모두 같아야 하는 더 많은 조건을 가졌기 때문이에요.  이제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면서 원리도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위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8 × 8 = 64 (cm^2) 인데요, 왜 높이를 직각을 이루는 길이로 할까요? 다음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어요. 이렇게 평행사변형은 한 귀퉁이를 오려서 붙이면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

초등 프린트 학습지 2024. 6. 19. 12:34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사다리꼴의 넓이 공식의 원리, 연습문제 프린트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사다리꼴의 넓이 공식의 원리, 연습문제 프린트 사다리꼴 넓이 공식은 상당히 복잡한 편에 속하는데요, 사각형의 넓이는 가로 곱하기 세로, 삼각형의 넓이는 가로 곱하기 세로 나누기 2, 이렇게 간단한데 비해서,  사다리꼴의 넓이 = (윗변 + 아랫변) × 높이 ÷ 2 이렇게 복잡한 공식을 가지고 있답니다. 공식을 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다리꼴은 왜 이런 복잡한 공식을 이유를 알고 외우면 더 오래 기억하게 된답니다.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를 함께 풀면서 이야기해볼게요.사다리꼴의 공식에 그대로 넣어보면 (7 + 9) × 6 ÷ 2 = 48 (cm^2) 이렇게 구할 수 있는데요, 공식을 이용하지 않고 풀어볼게요. 똑같은 사다리꼴을 하나가 더 있다고 생각해봐..

초등 프린트 학습지 2024. 6. 18. 13:13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마름모의 넓이 연습문제 프린트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마름모의 넓이 연습문제 프린트마름모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사각형이에요. 많은 아이들이 정사각형과 마름모를 헷갈려해요. 정사각형도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기 때문인데요,정사각형은 하나의 조건이 더 있어요. 그건 바로 네 귀퉁이에 각이 모두 직각이라는 거에요. 마름모는 그런 조건은 없어요. 단지 네 변의 길이만 같으면 마름모랍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 그럼 정사각형은 마름모일까요 아닐까요?마름모의 조건인 네 변의 길이가 같다를 만족하니 정사각형을 마름모라고 부를 수 있어요!(정사각형 -> 마름모(O), 마름모 -> 정사각형(X)) 이렇게 마름모에 대해서 알아봤으니 마름모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를 풀어보도록 해요. 도형을 잘 살펴보면 점선으로 표시된 직사각..

초등 프린트 학습지 2024. 6. 18. 12:52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 > 복잡한 다각형의 둘레 구하기 연습문제 프린트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 > 복잡한 다각형의 둘레 구하기 연습문제 프린트아래 문제를 함께 풀어볼게요.  이 문제를 처음보는 아이들이 어려워 하는 이유는 여러번 꺾인 선들의 길이가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데요. 표시가 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위 그림을 보면 빨간 선들을 모아보면 세로의 길이와 같고, 파란 선들을 모아보면 가로의 길이와 같음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도형의 둘레는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를 합한다음 2배한 수인 38 cm가 됩니다.  아래는 AI 수학 문제 프린트 사이트 '모두매쓰'에서 만든 문제지입니다.  초등 5학년 수학 > 다각형의 둘레 > 복잡한 다각형의 둘레 구하기 연습문제 프린트

초등 프린트 학습지 2024. 6. 18. 12:33

초등 2학년 수학 > 묶음으로 곱셈 익히기, 몇 개씩 몇 묶음한 수 연습문제 프린트

초등 2학년 수학 > 묶음으로 곱셈 익히기, 몇 개씩 몇 묶음한 수 연습문제 프린트아이들이 사물의 수를 셀 때, 곱셈을 활용하면 더 빠르고 정확한데요, 바로 '묶음'이라는 개념이에요.  바로 문제를 보면서 '묶음'이 어떻게 곱셈과 연결되는지 알아볼게요. 오렌지가 몇 개인지 세기 위해 먼저 '묶음'을 할 개수를 정해요. '묶음'의 개수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데요, 위 그림에서는 8개씩 묶음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만약 하나씩 개수를 센다면 시간이 더 오래 걸렸겠죠? 하지만 묶음을 활용하여 곱셈을 사용하니 빠르게 개수를 셀 수 있게 되었답니다.  아래는 AI 수학 문제 프린트 사이트 '모두매쓰'에서 만든 문제지입니다.  연습을 하면서 '몇 개씩 몇 묶음'을 익혀보아요. 초등 2학년 수학 > 묶음으로 ..

초등 프린트 학습지 2024. 6. 18. 12:20

고등 수학 > 확률과 통계 > 확률의 뜻 > 3개의 점을 선택할 때, 삼각형이 만들어질 확률 연습문제, 프린트 학습지

고등수학 > 확률과 통계 > 확률의 뜻 > 3개의 점을 선택할 때, 삼각형이 만들어질 확률 3개의 점을 선택하여 연결할 때,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수를 묻는 문제를 풀도록 할게요. 이 문제를 '조합'의 개념을 이용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답니다. 문제를 풀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확률을 계산하려면 전체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겠죠. 전체 20개의 점에서 임의로 3개의 점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아요. 다음으로 3개의 점을 택하여 연결할 때, 삼각형이 만들어지려면 어떤 점들을 선택해야 할까요? 이 문제의 답은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을까?'라고 거꾸로 생각하는 겁니다. 왜냐하면 그게 더 찾기 쉽기 때문인데요, 즉, 임의로 3개의 점을 선택하여 연결할 때, 딱 두 가지 경우 밖에 없..

고등 프린트 학습지 2024. 2. 27. 15:42

고등 수학 > 확률과통계 > 순열과 조합 > 같은 것이 있는 순열 > 최단 거리로 가는 방법의 수와 그 원리, 프린트 학습지

고등 수학 > 확률과통계 > 순열과 조합 > 같은 것이 있는 순열 > 최단 거리로 가는 방법의 수 같은 것이 있는 순열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문제가 바로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가는 최단거리의 방법의 수 문제입니다. 왜 같은 것이 있는 순열 단원에서 최단거리로 가는 방법을 묻는 문제가 나오는 걸까요? 그 원리에 대해서 문제를 풀면서 이야기하도록 할게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고 해볼게요.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가는 방법을 찾는 문제입니다. 길을 찾아가는 2가지 방법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아요. 두 가지 방법에서 어떤 규칙이 있는지 살펴보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횟수와 위쪽으로 이동하는 횟수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음과 같이 비교해보면 오른쪽은 3칸, 위쪽은 4칸 이동하는 건 공통이에요. 오..

고등 프린트 학습지 2024. 2. 27. 14:5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
TISTORY
모두매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